우리가 무심코 신고 다는니는 신발, 하루를 보내는 동안 대부분의 시간을 신발을 신고 활동을 한다.
단순히 디자인만 보고 신발을 선택하여 잘 맞지 않는 신발을 신게 되면 무지외반증, 소건막류, 지간신경종 등과 같은 발 질환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의 미적인 부분 즉 패션의 기능을 살피기 이전에 신발의 일차적인 목적인 보호 기능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는지를 알아보고 적절한 신발을 선택해야 한다.
어린이를 위한 신발선택 방법
1. 신발은 아이가 걷기 시작한 후부터 신기는 것이 좋다.
만일 걷기 전 단계의 아이가 계속해서 신을 신고 있는다면 발이 주위 환경과 접촉함으로써 얻는 정상적인 감각적 자극을 빼앗고 발과 발가락의 작은 근육들이 운동하는 기회가 적어지므로 적절한 발의 발육이 불충분하게 된다.
2. 신발은 구입시기는 오후로 하는 것이 좋다. 아이들의 경우 저녁에 발이 조금 더 커진다.
3. 몇가지 신발을 크게 사서 돌려가면서 신기는 것 보다는 그 때마다 아이에게 맞는 크기를 사서 신기는 것이 좋다.
아이들에게 큰 신발이나 작은 신발은 적절한 발육에 좋지 않다. 따라서 아이들의 발크기에 맞는 신을 신겨야 한다.
4. 아이들의 신발은 절대 뒷굽이 높아서는 안된다
뒤 굽이 있으면 발가락으로 걷게 되고 발 뒷쪽에 위치해있는 아킬레스건이 짧아지게 되고 이럴경우 보행이나 척추에 무리를 주는 경우도 있다.
5. 아이의 발의 크기가 다를 경우는 큰 발에 맞춰서 신발을 구입한다
6. 아이가 신을 신고 서 있을 때 발가락 끝(엄지와 새끼발가락)과 신발 양쪽 사이에 빈 공간이 있어야 한다.
또한 발은 뒤쪽으로도 성장하므로 아이의 뒤꿈치 뒤쪽으로 새끼 손가락 정도의 여유가 있는 것이 좋다.
7.아이는 정확한 표현을 못하므로 신발을 신은 상태로 약 5분 정도 있어보고 신발을 벗었을 때 빨갛게 된 부분이 있나 체크해 본다.
8. 아이가 걷기를 불편해 할 경우나 신발을 자주 벗으려 하는 경우 신발이 맞는지를 확인한다.
아이가 신을 신을 때마다 신발을 자주 벗으려 하거나 다리를 절뚝거리고, 걷기를 싫어하면 신발이 맞지 않는지를 주의해서 봐야 한다. 또한 아이 발이 빨리 자라서 신발보다 커지지 않았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9. 주기적으로 아이의 신발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신발의 교환은 12개월에서 30개월 사이에 발은 급격히 자라므로 3개월마다 신발 교환을 고려해야 한다.
그 후 3세에서 6세까지는 발이 비교적 덜 빠르게 성장하므로 4개월에서 6개월마다 한 번만 치수 변화를 확인하면 된다.
10. 헐거나 물려받은 신발은 미리 확인한다.
신발을 물려받는 경우는 전에 신었던 아이에게 발의 문제 및 보행의 문제가 있는 경우는 피하는 것이 좋고 너무 오래되서 밑바닥이 많이 닳은 경우도 피하는 것이 좋다. 만일 신발을 주의깊게 살핀 후에 좋은 상태라고 생각이 된다면 물려서 신는 것이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