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 X 문제
문 1. 감기는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
감기는 여러 가지 감기 바이러스균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에게서 옮을 수도 있고 내가 다른 사람에게 감기를 옮길 수도 있지요. 그래서 감기에 걸리면 서로 조심해야 합니다.
문 2. 예방 접종은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예방접종은 병에 걸리지 않기 위하여 하는 것입니다. 예방접종도 어떤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냐에 따라서 종류가 다양합니다. 나는 어떤 예방접종들을 했을까요?
문 3. 예방접종을 하면 병에는 절대 걸리지 않는다.
예방접종을 했다고 해서 꼭 그 병에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예방접종은 접종한 병균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싸워서 이길 수 있는 무기(항체)를 우리 몸에 만들어 놓기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접종을 했어도 이 무기가 생기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접종을 했다고 해서 모두 그 병에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니지요.
문 4. 운동은 일주일에 3회 이상해야 좋다.
운동은 일주일에 3회 이상 5회 정도 한 번에 30분 이상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문 5. 균은 살아 있는 생물입니다.
균은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매우 작은 것이지만 살아있는 생물입니다.
문 6. 눈으로 보아서 더러운 곳에서만 균이 자란다.
균은 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은 생물체입니다. 우리 눈에서는 깨끗하게 보이는 것도 현미경으로 보면 많은 세균들이 살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문 7. 사람들이 병에 걸리는 것은 반드시 균 때문이다.
병의 원인은 균뿐만이 아닙니다. 심장병과 같은 성인병은 유전, 식습관, 운동습관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문 8. 감기 바이러스균은 사람과 사람사이를 옮겨 다닌다.
감기 균은 사람과 사람사이를 옮겨 다니면서 감기를 전염시킵니다.
문 9. 감기 환자가 재채기를 하면 감기 균은 공기 중으로 퍼져나간다.
감기 균은 아주 작고 재채기를 하면 호흡기를 통해서 밖으로 퍼지게 됩니다.
문 10. 감기 균은 공기를 통해서 전염된다.
감기 균은 공기 중에 퍼져 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됩니다.
문 11.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입을 막으면 균이 멀리 퍼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균은 재채기를 할 때 호흡기를 통해 멀리 퍼져나갈 수 있습니다.
문 12. 균은 몸에 들어오기만 하면 병이 생긴다.
우리 몸에 병균이 들어와도 대부분은 병균과 싸워서 이깁니다.
문 13. 음식을 아무리 잘 씻어도 병균을 완전히 씻어내는지는 못한다.
세계나 물로 아무리 깨끗하게 씻어도 균을 완전히 씻어내지는 못합니다.
문 14. 음식물로 들어온 균은 대부분 위 속에서 죽는다.
위 속에는 아주 강한 산이 있어서 병균이 들어오면 견디지 못하고 죽습니다.
문 15. 위 속에서 병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것은 위산이다.
위산은 종이 위에 뿌리면 종이가 타버릴 정도로 강한 산입니다.
문 16. 우리 몸에 상처가 있어도 병원균이 침투하지 못한다.
병원균은 상처를 통해서 핏속으로 쉽게 들어올 수 있습니다.
문 17. 올바른 식생활은 병에 걸리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음식물은 우리 몸에서 여러 가지 일을 한다. 골고루 음식을 잘 먹어서 튼튼한 몸을 만들면 우리 몸은 병균과 더 잘 싸우지요.
문제 18. 운동이나 음식은 우리 몸을 병으로부터 보호하지는 못한다.
적절한 운동이나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면 우리 몸은 병균과 더 잘 싸울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병과 싸우는 무기(백혈구 등)도 튼튼해지고 일도 잘 하게 되지요.
문 19. 파리나 모기와 같은 곤충은 병을 옮기지는 못한다.
파리는 더러운 곳에 앉았다가 그 곳에서 더러운 병균을 묻혀서 음식 위에 앉는다. 이런 것을 우리가 먹게 되면 우리는 병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문 20. 균은 물 속에는 살지 않는다.
균은 물 속에서도 산다. 수영장에 갔다가 눈병에 걸려 고생하는 것도 수영장 속에 퍼져 있던 균이 수영하는 동안 우리 몸 속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영장의 물도 검사를 해서 깨끗한 물에서만 수영을 해야 한다.
문 21. 핏속에는 병균을 죽이는 물질이 있다. 이 물질을 항체라고 한다.
몸의 항체는 질병을 방어합니다. 항체는 병균을 죽이는 물질로 두 가지 방법으로 몸에서 만들어집니다. 첫째는 병에 걸렸을 때 만들어지고, 둘째는 예방접종 후에 만들어집니다.
문 22. 모든 병은 병균이 몸에 침입하여 걸리는 것이다.
질병 모두가 병균 때문에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암이나 심장병은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는 병이지요.
문 23. 모든 종류의 박테리아는 우리 몸에 해롭다.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우리에게 해롭지 않으나 어떤 것들은 전염병의 원인이 됩니다.
문 24 . 위생처리를 잘 하지 않은 고기에는 기생충이 붙어 있다.
기생충은 생물들 속에서 혹은 생물과 함께 살아가는 벌레입니다. 따라서 고기나 생선 등을 잘 처리하지 않으면 기생충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을 먹게 됩니다.
문25. 우리 몸은 병균이 살기에 좋은 온도와 양분을 가지고 있다.
많은 세균들은 체온과 우리 몸속의 양분 때문에 아주 잘 자란다.
문 26. 몸에서 열이 나고 목이 아픈 것은 우리 몸에서 균이 성장하고 또 많아졌기 때문이다.
균은 우리 몸에 들어와 성장과 증식을 한다.
문 27. 눈썹, 속눈썹, 눈꺼풀은 균이 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방어한다.
균이 붙은 먼지가 바람에 날아오면 눈을 감아서 균이 눈에 들어오는 것을 방어하고 눈에 먼지가 들어가면 눈물을 흘려서 먼지를 씻어 내어 균을 방어한다.
문 28. 균이 있는 먼지를 숨 쉴 때 들이마시면 균이 직접 허파(폐)로 들어온다.
이 털은 균이 몸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붙잡고 있다가 숨을 내쉬면 밖으로 나가게 하거나 콧속을 자극하여 재채기를 하도록 하여 내보낸다.
문 29. 균이 입을 통해서 몸으로 들어가면 입의 침과 위에 있는 산이 균을 죽인다.
침이나 위에 있는 산이 균을 죽인다.
문 30. 균이 핏속이나 세포로 들어오면 우리 몸은 더 이상 균과 싸울 수 없다.
핏속에는 백혈구가 있어 이러한 균에 대해서 몸을 보호한다. 그리고 균이 들어오면 백혈구 가 생성되어 균을 둘러싸서 우리 몸을 해롭게 하기 전에 죽인다.
문 31. 항체는 병균의 종류와 관계없이 싸운다.
항체는 균의 종류에 따라 각각 만들어진다.
문32. 감기에 걸렸다가 다시 바로 감기에 걸리는 것은 바이스러스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다.
만약 감기에 걸리면 감기의 항체를 몸에서 만든다.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감기에 걸릴 때마다 그 때 들어오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체를 만들어 방어한다.
문 33. 면역이 생기는 질병에 한번 걸리고 난 후에는 다시 그 병에 걸리지 않는다.
만일 같은 종류의 균이 다시 들어오면 우리 몸은 병에 걸리지 않는다. 먼저 들어 왔던 균에 의한 항체가 다시 들어온 균을 죽인다. 이것을 면역이라고 한다.
문 34. 많은 전염성 질병은 건강한 생활 습관으로 예방할 수 있다.
전염병도 식사 전에 손을 씻는다던가 기침과 재채기를 할 때 입을 가린다. 혹은 전염성 환자가 사용한 물건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등으로 전염병은 막을 수 있다.
문 35. 심장병은 전염병이다.
심장병 등의 만성병은 사람과 사람으로 전해지지 않는다. 이러한 질병은 유전 혹은 비정상적으로 잘못된 심장을 타고나거나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으로 생긴다.
문 36. 식생활과 운동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면 심장병과 같은 병에 걸릴 위험이 줄어든다.
만성질환은 유전,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서 생겨나기도 하지만 잘못된 식생활과 운동을 하지 않는 생활습관 때문에 생길 수도 있다.
문 37. 지방질이 많은 음식을 많이 먹어야 혈관이 미끌미끌해서 피가 잘 흘러간다.
지방질이 많은 음식을 많이 먹으면 음식이 식었을 때 기름이 둥둥 떠있는 것처럼 핏속에도 지방 덩어리들이 떠다니게 됩니다. 기름이 손에 묻으면 잘 씻기지도 않은 것처럼 혈관 속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방 덩어리가 자꾸만 둥그런 혈관 벽에 붙어서 통로를 좁게 하여 피가 잘 흐르지 못하게 하지요
문 38. 심장에 피를 넣어주는 혈관이 막히면 옆으로 다른 혈관이 생긴다.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주동맥)이 막히면 다른 혈관이 생기지 않고 피가 더 이상 흘러가지 못해서 이 동맥을 통해 영양분을 받던 심장 부위의 세포들이 죽게 됩니다. 이것이 심하면 심장마비로 죽지요.
문 39. 지방이 많은 음식은 심장병을 더 잘 일으키게 한다.
지방이 많은 음식을 즐겨 먹으면 우리 핏속에 지방이 돌아다니다가 혈관 벽에 쌓여 통로를 좁게 합니다. 만일 심장 혈관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심장이 아프겠지요.
문 40. 심장을 튼튼히 하려면 100미터 달리기를 하루에 5번 정도 한다.
심장을 튼튼히 하려면 운동을 하면서 숨을 많아 쉬는 호기성 운동을 많이 해야 합니다. 그런데 100미터 달리기처럼 달리는 동안 숨을 쉬지 않고 하는 운동은 혐기성 운동이라고 해서 심장을 튼튼히 하는 주 운동은 아닙니다.
문 41. 체중은 심장과는 상관이 없다.
체중이 많이 나가면 심장은 그 만큼 많은 피를 몸으로 흘려보내야 합니다. 그래서 심장이 펌프질을 많이 하지요. 펌프가 무리하게 일을 하면 어떻게 되지요? 고장이 납니다.
문 42. 심장에서 우리 온몸으로 피를 보내는 통로를 정맥이라고 한다.
심장에서 우리 몸으로 피를 보내는 펌프의 주둥이를 우리는 동맥이라고 부릅니다.
문 43. 우리 몸을 돌아다니면서 이산탄소를 심장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 핏줄을 정맥이라고 한다.
네. 그렇지요, 정맥은 우리 몸에서 노폐물을 심장으로 가지고 오는 역할을 합니다.
문 44.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가해지는 피의 압력이다.
혈압은 피가 흘러나가면서 혈관 벽을 치고 나가는 힘입니다.
문 45. 고혈압이라는 병은 심장과는 관련성이 없다.
심장에서 펌프질을 하는데 펌프물이 통과해서 나가야 하는 통로가 비좁아서 잘 나가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여러분은 온 힘을 다해서 펌프질을 해야겠지요? 온 힘을 다해서 펌프질을 세게 하면 어떻게 되지요 물이 흘러나오는 세기나 양이 많아져서 한꺼번에 힘차게 쏟아져 나옵니다 그러면 혈관 벽을 때리고 나가는 피의 힘이 커져서 혈관 벽이 고통을 느낄 것 같네요. 이런 것을 고혈압이라고 해요.
문 46. 혈관은 고무관처럼 탄력성이 있다.
혈관은 탄력성이 좋습니다. 그래서 피의 양이 조금 많거나 세게 흘러도 탄력으로 버티지요.
문 47. 혈관 벽에 지방이 쌓이면 혈관의 탄력성은 좋아진다.
혈관 벽에 지방이 쌓이면 지방 때문에 혈관의 탄력을 잃게 됩니다.
문 48. 암은 해로운 세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질병이다.
암은 해로운 세포가 빠른 속도로 증식해서 건강 신체 세포를 파괴하는 질병이다.
문 49. 담배를 피우면 허파(폐)에 암이 발생할 확률이 커진다.
흡연은 위험한 행위입니다. 담배를 피우는 것은 폐, 입. 입술, 목에 암이 생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문 50. 지방을 먹지 않으면 젖가슴(유방)에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지방질을 많이 먹으면 젖가슴에 생기는 암(유방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문 51. 내가 직접 담배를 피울 때만 나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직접 담배를 피우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를 계속 들여 마시면 건강에 해롭습니다.
문 52. 당뇨병을 가진 사람은 우리 몸에서 당분을 잘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계속 단 음식을 먹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는 당분을 우리 몸에서 잘 사용하지 못하여 쌓이기 때문에 너무 많은 음식을 먹거나 단 음식을 적게 먹어야만 합니다.
문 53. 당뇨병은 성인들에게만 걸리는 질병입니다.
당뇨병은 어린이에게도 나타나는 질병으로 소아 당뇨병이라고 하지요. 소아 당뇨병도 한 번 걸리면 평생 당뇨 조절을 해야 합니다.
문 54. 눈에서 나오는 눈물은 병원체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한다.
눈물은 눈을 감싸고 있어 병원체가 포함된 물질을 씻어 냅니다.
문 55. 먹은 에너지량이 사용한 에너지량보다 많으면 체중이 증가한다.
하루에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량보다 음식을 많이 먹고, 먹은 양만큼의 에너지를 운동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체중이 증가합니다.
문 56. 땀을 많이 흘릴 정도로 아주 힘든 운동을 하면 체중이 감소한다.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약간의 땀이 날 정도의 가벼운 운동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100m 달리기를 하기보다는 오래 달리기나 조깅(빨리 걷기)을 하는 것이 우리 몸의 지방을 없애면서 체중을 감소시켜 줍니다. 그리고 운동은 1주일에 4-5번 정도로 한 번 할 때 30분 이상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 57. 기름기가 많은 음식 (지방 식품)은 체중 감소를 위해서 절대로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
지방 식품을 전혀 먹지 않으면 안됩니다. 지방이라는 영양소는 우리 몸에서 열과 힘을 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지방을 전혀 먹지 않으면 성장 발육이 늦어지고 피부염을 일으키며 피로와 추위를 많이 느끼게 됩니다.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으나 전혀 먹지 않으면 안됩니다.
문 58. 맨손 체조는 체중감소에 도움이 된다.
체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좋은 운동은 약간의 땀이 날 정도의 가벼운 운동이 좋습니다. 따라서 맨손 체조를 30분 이상 정도 정도로 꾸준히 하면 체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문 59. 야채를 먹는 것은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열량)를 얻기 위해서 이다.
야채는 비타민이라는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입니다. 비타민이 우리 몸에서 하는 일은 다른 영양소의 흡수를 도와주고, 눈이 잘 보이게 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해 주고, 피부가 고와지고 머리가 좋아지게 합니다. 열량을 공급해 주는 영양소는 탄수화물과 지방, 단백질입니다.
문 60. 체중이 많이 나가면 비만이다.
체중이 많이 나간다고 해서 비만은 아닙니다. 우리 몸은 근육과 지방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비만은 우리 몸에 축적되어 있는 지방 량이 정성보다 많을 때를 말하며 근육이 많아서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비만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문 61. 과일은 아무리 먹어도 살이 찌지 않았다.
우리 몸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보다 더 많이 먹게 되면 살이 찝니다. 과일도 다른 식품에 비해서 열량이 많지는 않지만 아주 없는 것이 아니므로 과일도 많이 먹게 되면 살이 찝니다.
문 62. 어린 시절에 비만하면 어른이 되어서도 비만해지기 쉽다.
어렸을 때 비만인 경우, 어른 되어서도 비만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어렸을 때부터 살이 찌지 않도록 음식은 적당히 먹고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어른이 되었을 때 더욱 건강하게 살도록 해줍니다.
문 63. 같은 양을 먹어도 탄수화물이 단백질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든다.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서 열과 힘을 내게 해주며 필요 이상으로 먹는 경우 살을 찌게 합니다.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힘을 내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나 우리 몸을 구성하고 몸을 자라게 하는데 더 많은 일을 합니다. 따라서 탄수화물만큼 단백질을 많이 먹어도 탄수화물보다 더 살이 찌지 않습니다.
문 64. 운동을 하면 식욕이 증가한다.
적당한 운동은 오히려 식욕을 억제시켜 줍니다. 운동을 한 번 할 때에는 30분에서 1시간 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오랫동안 운동을 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문 65. 질이 좋은 단백질을 제공해 주는 것은 쇠고기뿐이다.
질이 좋은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같은 육류 식품뿐만 아니라 생선, 콩, 두부, 달걀 같은 식품도 있습니다.
문66.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탄수화물 식품은 먹지 말아야 한다.
우리 몸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해야 합니다.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서 열과 힘을 내게 하는 중요한 영양소이므로 먹지 않으면 병에 걸리기 쉽습니다. 따라서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탄수화물 식품을 안 먹는 것이 아니라 평상시 먹는 것보다 적은 양을 먹도록 합시다.
문67.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식사, 규칙적인 운동을 가져야 한다.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리 몸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만큼의 음식을 먹고, 일주일에 3번-5번 정도로 30분-1시간 미만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좋은 식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좋은 식습관이란 규칙적으로 하루 3끼 식사를 하고, 모든 음식을 골고루 먹고, 한 번에 많은 음식의 양을 먹거나 밤에 음식을 먹지 않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68. 우리 몸 중에 근육, 손톱, 머리카락 등을 구성하는 영양소는 단백질이다.
단백질은 근육, 손톱, 머리카락 등과 같은 우리 몸을 구성하며 우리 몸을 자라게 하는 일을 합니다.
문69. 사탕을 먹으면 다양한 영양소를 얻을 수 있다.
사탕은 열량만 내는 식품으로서 우리 몸에 필요로 하는 좋은 영양소는 거의 없습니다.
문70. 아침을 먹지 않으면 살을 뺄 수 있다.
아침을 먹지 않으면 점심 때 오히려 더욱 많은 양을 먹게 되어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칙적으로 하루 세끼 식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문71. 영양소 중 흡수가 거의 안 되는 영양소는 섬유질이다.
섬유질은 우리 몸에서 흡수가 거의 안되면서 배를 부르게 하는 역할이 있으며 또한 변비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섬유소가 풍부한 식품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야채나 과일 같은 식품이 있습니다.
문72. 우리 몸에는 수분(물)이 가장 많다.
물은 우리 몸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물질 중에 하나로서 우리 몸에서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성분입니다.
문73. 물은 아무리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
물에는 열량이 하나도 없으므로 물을 많이 먹는다고 해서 살이 찌지 않습니다.
문74. 물은 우리 몸의 체온을 조절한다.
물이 우리 몸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로 체온을 조절해 주는 역할이 있습니다.
문75. 물은 영양소를 운반해 준다.
물은 우리 몸에 중요한 역할을 가지는 여러 가지 영양소들을 운반해서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 신체 부위에 가져다줍니다.
문76. 소고기, 돼지고기 같은 육류는 근육을 만드는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소고기, 돼지고기 같은 육류 식품은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입니다. 운동을 잘 하기 위해서는 우리 몸의 근육을 키워줘야 하는데 단백질은 근육을 구성하는 중요한 물질이므로 단백질을 많이 먹으면 근육이 많아져서 운동을 잘하게 해 줍니다.
문77. 운동을 할 때 과일을 많이 먹으면 힘을 내준다.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힘이 필요하며 힘을 내주는 영양소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있습니다. 그런데 과일은 비타민이 풍부한 식품이므로 운동을 할 때에 사용되는 영양소는 아닙니다.
문78. 운동을 하면 혈액순환이 활발해 진다.
운동을 하면 우리 몸에 피를 모든 곳에 골고루 잘 가게 해주면서 건강하게 해 줍니다.
문79. 곡류, 육류, 난류 등은 산성 식품이다.
곡류는 탄수화물 식품 군에 육류, 알류는 단백질 식품 군에 속하며 이들은 산성 식품입니다.
문80. 감자, 우유, 채소류, 과일류 등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감자는 탄수화물 식품 군에, 우유는 무기질 식품 군에, 채소류 및 과일류는 비타민 식품 군에 속하며 이들은 알칼리성 식품입니다.
문81. 철분은 적혈구를 만드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다.
철은 우리 몸에 적혈구를 만드는 일을 하는 매우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문82. 음식물이 작게 분해되는 과정을 소화라고 한다.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물은 우리 몸에서 모두 흡수되며 음식물이 우리 몸에서 흡수되려면 작게 분해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을 소화라고 합니다.
문83. 모든 영양소는 위에서 모두 소화된다.
탄수화물은 입에 있는 침에 의해 일부 소화되고 단백질은 위에서 위액에 의해, 지방은 십이지장에서 쓸개즙과 이자액의 도움으로 일부 소화되고 작은창자에서 나머지 영양소들과 함께 대부분이 소화 흡수됩니다.
문84. 비타민 C가 우리 몸에서 하는 일은 뼈의 성장을 도와주는 일이다
비타민 C는 몸의 성장과 질병 예방의 역할을 하며 뼈의 성장을 도와주는 비타민은 비타민D입니다.
문85. 간, 간유, 버터, 당근 같은 음식을 많이 먹으면 밤에 눈이 잘 보이지 않는다(야맹증)
야맹증은 비타민A가 부족하면 걸리기 쉬운 병으로서 비타민A가 풍부한 음식은 간, 간유, 버터, 당근, 달걀, 김, 토마토, 시금치, 버섯 등이 있습니다.
문86. 비타민B, 비타민C는 기름에 잘 녹아 나오는 지용성 비타민이다
지용성 비타민에는 비타민 A, D, E, K가 속하고 비타민 B, C는 수용성 비타민입니다.
문87. 간, 쓸개, 이자, 침샘 등은 먹은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일을 한다
소화기관에는 입, 식도, 위, 십이지장, 작은창자, 큰창자가 있고, 간, 쓸개, 이자, 침샘 등은 소화를 돕는 기관에 속합니다.
문88. 식품을 가열하는 이유는 소화흡수를 잘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식품을 가열하면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되고, 소화 흡수를 잘 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식품의 풍미를 향상시킵니다.
문89. 감자는 무기질과 비타민이 주성분이다.
감자는 탄수화물이 주성분이며 그 밖에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들어 있고, 감자의 비타민은 비타민 C가 가장 많습니다.
문90. 달걀은 단백질만 들어 있다
달걀에는 단백질, 지방, 무기질,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는 우수한 식품으로 특히 성장기에 있는 우리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문91. 물은 작은창자에서 흡수한다.
물은 큰창자에서 흡수가 됩니다.
문92. 김, 미역, 다시마 같은 무기질 식품은 우리 몸에서 피를 만드는 중요한 일을 합니다.
김, 미역, 다시마는 요오드가 풍부한 식품으로서 몸의 조절, 성장을 돕는 일을 합니다. 피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무기질은 시금치, 쇠고기, 포도, 조개, 당근, 사과, 달걀 같은 철이 풍부한 식품입니다.
문93. 태우면 빵 굽는 냄새가 나고 요오드 용액을 묻히면 보라색으로 변하는 것은 지방이다.
태우면 빵 굽는 냄새가 나고 요오드 용액을 묻히면 보라색으로 변하는 것은 탄수화물의 성질입니다.
문94. 지방은 1그램 당 4칼로리의 열량을 낸다
지방은 1그램 당 9칼로리의 열량을 내고, 1그램 당 4칼로리의 열량을 내는 것은 탄수화물과 단백질입니다.
문95. 같은 양의 지방과 탄수화물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만든다.
같은 양이라도 지방이 탄수화물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듭니다.
문96. 우리 몸에서 다른 영양소들이 잘 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양소는 비타민과 무기질이다.
비타민과 무기질은 우리 몸의 기능을 잘 조절해 주는 영양소입니다.
문97. 쇠고기, 돼지고기는 지방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이다.
쇠고기, 돼지고기는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입니다.
문98. 멸치는 우리 몸의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
멸치는 칼슘이 매우 많은 식품으로써 칼슘을 많이 먹으면 우리 몸의 뼈와 이가 튼튼해집니다.
문99. 사탕, 아이스크림, 콜라는 영양이 풍부한 식품이다
사탕, 아이스크림, 콜라 같은 식품은 열량만 많고 영양소는 거의 없는 식품이므로 살을 쉽게 찌도록 만들며 이를 잘 썩게 하는 좋지 않는 간식입니다.
문100. 당근은 시력을 좋게 하는 비타민을 많이 가지고 있다.
눈을 잘 보이게 하는 영양소는 비타민 중에서도 비타민A라는 영양소이며, 이 영양소가 많은 식품은 당근, 달걀, 김, 시금치, 토마토, 버터, 간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