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운동이 그렇겠지만 무술에 있어서 기초는 아주 중요하다. 처음 접하는 기본 동작을 조금만 잘못된 자세로 배우고 그 자세에 익숙해 진다면 이후 언젠가는 그 자세를 바르게 고쳐야하는 불상사가 생기기 마련이고 운동효과 역시 적절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불필요한 곳으로 분산된다.
그러한 잘못된 자세를 고치기는 쉽지 않을 뿐더러 기본이 튼튼한 사람보다 2배~3배의 노력을 기울여야 바른 자세를 찾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보통 기본자세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화려하거나 겉으로 드러난 동작에 미학을 느끼며 또한 기본이 등한시된 상태에서 고난도의 동작을 무조건적으로 추종하는 사람이 있다.
예를 들면 낙법의 경우를 들 수 있는데 낙법은 기본적으로 전방낙법과 후방낙법, 측방낙법이 신체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이며 중요한 기법이다. 그런데 그러한 동작보다는 회전 낙법이나 기계체조와 같은 덤블링 수준의 낙법 동작을 선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몸을 회전하고 착지하는 등 민첩성이나 순발력 또한 균형성에 있어서는 뛰어난 모습을 보이지만 정작 자신의 몸을 보호해야하는 낙법은 자세가 엉성하고 효과적이지 못한 자세가 되는 것이다.
발차기의 경우도 같다.
기본적인 앞차기와 발등차기와 같이 실제 가장 많이 쓰이고 중요한 발차기는 등한시 한체 화려한 발차기를 무리하게 습득하려는 사람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사람은 화려한 발차기를 하더라도 유효한 발차기가 나오지 않고 그 발의 모양과 각도가 힘의 방향과 조화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게 된다.
무릇 무술을 함에 있어서 외적으로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화려한 동작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자신에게 있어, 자신을 위한, 자기방어에 충실한 기본에 충실하고 묵묵히 그 기본을 다져나갈때
적절하고 효과적인 공격과 방어는 물론 화려한 동작도 충분히 습득되고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바른 자세가 중요하며 효과적이라는 점을 인지 시킨다.
처음 접하는만큼 잘 못하는게 당연하다는 점을 독려해주고 잘못된 자세를 개선해 준다.
기본이 잘 되어 있는 선배를 시켜 시범을 보인다.
두 사람 이상의 수련생에게 경쟁을 붙여 본다.
기본동작이 개선된 모습을 영상과 같은 매체를 이용해 보여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